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 대입연산자, 기타연산자 / Assignment Operator, Miscellaneous Operators 대입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대입연산자는 영어로 Assignment Operator라고 부르며, 변수가 값을 대입하여 할당할 때에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대입연산자는 피연산자(operand)가 지정한 개체 값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산자 사용법 연산자의 반환 결과 b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서 위쪽에 있는 건 왼편에 있는 값을 오른쪽에 대입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고 아랫편에 있는 왼쪽에 있는 값을 오른쪽에 대입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연산자들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 C나 자바(java) 등의 프로그램이 언어에서 익숙할 수 있는 = 연산자입니다. 이것은 a a=3 > a 3 Error in 3 3->a > 3->>a > 이건 굉장히 간단합니다... 2022. 1. 30.
R객체 연산자 - 산술연산자(arithmetic operator), 관계연산자(Relational operators),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s) R객체의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객체에는 다양한 연산자가 존재하는데, 먼저 첫 번째로 산술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술 연산자는 영어로 arithmetic Operators라고 합니다. 산술 연산자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비율 등의 사칙연산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컴퓨터에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 키보드에 있는 키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R에서는 나머지와 몫을 구하는 연산도 제공합니다. 나머지를 구하고 싶을 때는 퍼센트를 두 번 입력해 주면 되고 몫을 구하고 싶을 때는 %/%라고 써 주면 그 값을 구할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수 연산” 또한 굉장히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밑이 a이고 지수가 b인 연산을 하고 싶을 때는.. 2022. 1. 30.